Algorithm101 모의 SW 역량테스트(점심 식사 시간) [점심 식사 시간] * 로직 계단 1과 2로 갈 수 있는 사람들의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한다 각 경우의 수가 구해질 때마다 로직을 진행한다 계단 1과 2를 목적지로 하는 사람들에 대해 ->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갱신한다(limit) 시간을 1분씩 늘려나가면서 계단 1을 내려가고 있는 사람이 존재한다면(큐) 각각 1분씩 늘려주고, 만약 다 내려갔다면 pop & cnt++를 해준다 계단 1을 목적지로 하는 사람들의 시간을 1분씩 늘려주고 만약 계단에 도착했다면 이미 계단 1에 3명이 꽉찼다면 -> 1분 감소시키고, wait 표기를 해준다 공간에 여유가 있다면 -> 계단 1 큐에 넣어준다 (대기를 하는 사람의 경우 계단 1의 큐가 빈 경우 바로 내려갈 수 있기 때문에 wait 표기가 있다면 바로 진입하게끔 .. 2020. 4. 10. 알고리즘(소수 만들기, 점프와 순간이동, 영어 끝말잇기) [소수 만들기] * 로직 주어진 숫자 중 3개의 수를 더했을 때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만든다(조합) 조합이 만들어질 때마다 해당 숫자가 소수인지 판별한다 소수라면 답을 카운팅해준다 //소수 만들기 public class Problem_Decimal { static int result;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[] nums = {1,2,3,4}; int answer = solution(nums); System.out.println(answer); } public static int solution(int[] nums) { int answer = -1; //조합 구하기 int count = 0; int index=0; int limit = 3; i.. 2020. 4. 6. 프로그래머스(멀쩡한 사각형, 쇠막대기) - Java [멀쩡한 사각형]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62048 코딩테스트 연습 - 멀쩡한 사각형 가로 길이가 Wcm, 세로 길이가 Hcm인 직사각형 종이가 있습니다. 종이에는 가로, 세로 방향과 평행하게 격자 형태로 선이 그어져 있으며, 모든 격자칸은 1cm x 1cm 크기입니다. 이 종이를 격자 선을 �� programmers.co.kr * 로직 최대 공약수를 통해 대각선을 그었을 때 구할 수 있는 사각형 비율을 구할 수 있다 해당 비율의 사각형에서 대각선에 닿는 사각형의 개수는 (가로 비율 + 세로 비율) - 1 개이다 비율에 따라 자를 수 있는 사각형의 개수는 최대 공약수의 값이 된다 즉, 전체 개수 - ((가로 비율 + 세로 비율) -1) .. 2020. 4. 3. 이전 1 ··· 9 10 11 12 13 14 15 ··· 34 다음